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생활

지적 장애의 특징과 징후,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의 관계

by 헬시박스 2023. 3. 22.
반응형

지적장애-책에서 글자가 떨어지는 사진

발달장애의 한 부분인 지적 장애는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이유로 정상인에 비해 지능의 발달이 뒤처진 것을 말합니다. 지적장애의 특징은 어떤 것인지, 어떤 징후가 있는지, 그리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y)의 특징

지적 장애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상인 보다 지능적인 부분이 뒤처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과거에는 정신박약 혹은 정신지체로 불리다가 이후 지적장애라는 용어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지적장애는 의학적인 질병이나 질환, 정신 건강 문제가 아닙니다. 태아 때부터, 성장하는 동안에 두뇌의 신경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발달장애의 한 형태입니다. 

 

대부분의 지적 장애는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구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어느 정도 자란 후에 유치원에 입학할 무렵에 증상이 보이게 됩니다. 지적 장애의 대략적인 구분과 특징을 보겠습니다. 

 

  • 경도 지적 장애 (IQ 50-69) : 지적 장애인의 85%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9-12세 정도의 지적 능력을 보이며, 실용적인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사회 적응 훈련 등을 통하여 성인이 되어 독립적인 생활과 사회생활이 가능합니다. 

 

  • 중등도 지적 장애 (IQ 35-49) : 지적 장애인의 10% 정도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성장하면서, 말이 늦는 등의 특징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업능력이나 사회 적응을 하기 위해서는 각별한 보살핌이 필요합니다. 성인이 되어서, 부모와 같이 살거나 복지시설등의 돌봄을 받으며 제한적인 독립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 중증도 지적 장애 (IQ 20-34)와  최중증도 지적 장애 : 중증도는 지적 장애인의 3.5% 정도가 해당되며, 1.5%는 최중증도 (IQ 19 이하)입니다. 양육자나 보호자의 도움 없이는 생활에 매우 큰 어려움이 있으며, 대부분의 생활을 타인에게 의존해야 합니다.  

 

대략적인 지적 장애의 정도와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지적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최근에는 지능뿐만 아니라 사회적응 행동, 상황에 따른 실질적 반응 행동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측정을 하는 추세입니다. 명확한 진단을 받으시려면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재활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지적장애의 원인

지적 장애의 원인은, 다운증후군이나 취약 X증후군 처럼, 명확한 발달장애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유전적인 원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럼에도 유력한 원인을 찾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유전적인 원인: 5% 정도는 명확하게 부모에게서 유전된 경우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에 의해 원인이 밝혀질 수록 유전에 의한 원인이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임신 중의 문제: 임신기간 중의 태아의 발달에 문제가 생긴 경우, 지적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분만 시의 문제: 조산이나, 분만 시 아이에게 산소부족이 발생하면,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지적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질병이나 독성노출: 홍역, 뇌 수막염등의 치료가 늦어지면 뇌기능의 손상이 생길 수 있으며, 중금속 노출에 의해서 지적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태아알코올증후군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의 징후

지적 장애는 정도가 심할수록 보다 일찍 발견하기가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NIH(National Institute of Health)에서 제시하는 지적 장애의 일반적인 징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또래의 다른 아이와 비교했을 때, 앉기, 기어가기, 걷기 등의 행동이 늦게 나타납니다.
  • 말문이 늦게 트이거나 말하는데 어려움을 보입니다.
  • 무언가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사회적인 행동양식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사건의 인과를 예측하거나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행동이 가져올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워함)
  •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위에 나열한 징후들이 조금 보인다고 해서 내 아이가 무조건 지적장애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아이가 성장해 나가면서 보여주는 행동과 발달정도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주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겠습니다.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의 관계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공통적인 특성이 많아서 진단 시에 혼동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지적 장애인의 40%가 자폐증의 성향을 보이며, 자폐성 장애인의 70%가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 모두 소통 능력과 사회성의 결여가 특징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공통점

  • 아동의 발달기에 나타납니다.
  • 비 언어적인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표정, 몸짓 등)
  • 사회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감정표현, 음성의 패턴, 유행어 등의 사회적 교감을 위한 표현의 어려움)
  • 사회적 활동의 참여를 어려워합니다. (친구들 간의 관계, 가족과의 관계 등)
  • 주의력 저하와 학업상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 공감능력이 떨어집니다.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다른점

  • 지적 장애의 경우 지적인 학습능력과 행동이 뒤떨어질 수 있으나, 자폐 스펙트럼인 경우에는 지적으로는 문제가 없습니다.
  • 지적 장애의 경우 그룹 내에서 일의 진척도나 기술 개발의 속도가 느릴 수 있으나, 자폐 스펙트럼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일의 진행 과정을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모두 가진 경우, 학습 및 사회화 교육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지적 장애란 무엇인지, 지적 장애의 특징과 징후 그리고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지적 장애는 의학적인 질병이나 질환, 정신건강의 문제가 아닙니다. 안타깝게도 뇌의 발달이 정상적이지 못해서 발생하는 발달장애입니다. 앞으로는 우리 사회가 지적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더 포용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갔으면 좋겠습니다. 

 

발달장애의 의미와 종류, 원인

 

 


참고자료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 What are the signs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DC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Facts about Intellectual Disability

ASHA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 Intellectual Disability

보건복지부, 국가정신건강 정보포탈:  지적장애

The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02, 15, 2000)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mental retardation.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