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생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분류, 특징

by 헬시박스 2023. 3. 24.
반응형

자폐 스펙트럼 장애-두뇌-톱니바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최근, 매체를 통해서 많이 듣는 증상 중에 하나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어떤 증상을 이야기하는지는 명확하게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무엇인지, 어떻게 분류가 되는지, 그리고 특징에 대해서 되도록 쉽고 명확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발달장애의 한 분류입니다.

(발달장애에 대해 궁금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자폐증을 비롯하여, 자폐증의 진단기준에 부합하지는 않지만 일부 비슷한 점이 있고, 사회생활이나 감정적 교류에 문제를 보이는 경우를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자폐증'이라고 하면, 누가보아도 확연한 증상이 보이는 경우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명확한 자폐증상과 더불어, 확실하게 자폐증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원만한 사회생활이 힘들고, 감정의 교류가 힘든 증상들을 보이는 것 등을 모두 통틀어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고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과거에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자폐증'과는 해석에 차이가 있습니다. 심각한 증상과 아주 가벼운 증상 모두 통틀어 묶어둔 개념으로, 여기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1% 정도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남성의 경우가 여성보다 4배 이상 흔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2013년, 미국 정신의학 협회에서 발표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메뉴얼 5차 개정판(Diago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_5th, DSM-5)에서 비교적 명확하게 분류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대체로 이 분류에 따르고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분류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들어가는 세부적인 분류 입니다. 다음과 진단이 있을때, 자폐스펙트럼 장애라고 판단합니다. 

 

  • 자폐장애(Autism) : 기존의 '자폐증'의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입니다. 
  •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 또는 고기능 자폐 장애(High functioning Autism): 사회적인 상호작용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입니다. 
  • 아동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s): 2세까지는 잘 발달하다가 이후에 발달이 거의 멈추는 경우입니다. 
  • (상세불명의)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PDD-NOS): 정도가 약한 자폐증상을 보이는 경우입니다. 해석이 애매하고, 명확한 진단이 어려운 대부분의 경우가 포함됩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특징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 상호작용 그리고 배움과 행동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신경학적인 발달장애 입니다. 명확한 증상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생후 2년 안에 관찰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그 이후에 증상을 발견하거나 진단이 가능한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특징

  • 타인과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 제한된 관심사와 반복적인 행동이 관찰됩니다. 
  • 학교나 직장을 비롯한 생활 전반에서 기능적인 능력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진단입니다. '스펙트럼'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증상의 범주를 워낙 크게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른 시기에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받으면, 증세가 호전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국 소아과 학회가 모든 어린이들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하는 것도 그러한 이유일 것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올바르고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부모와 주변 어른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상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무엇인지 그리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분류는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과 징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과 징후

 


참고자료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 Autism Spectrum Disorder

CDC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What is Autism Spectrum Disorde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