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는 부모의 시력을 따라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꼭 그렇지만도 않다고 느낍니다. 제가 초등학교 다닐 때만 해도 반에서 안경 쓴 아이가 손에 꼽을 정도였다면, 요즘은 반에서 안경을 안 쓰는 아이를 손에 꼽는 것이 빠르니까요.
아이들의 시력발달은 대략 6-7세까지 진행되며, 8-10세에 멈춘다고 합니다. 그 시기에 나타나는 눈 문제를 방치하면 평생에 걸친 시력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어린이 눈 건강과 시력보호를 위해 어떤 것을 확인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어린이 눈 건강, 체크 포인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2019년도 발표에서, 어린이 질병 중에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것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력이상이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답니다. 시력은 한번 안좋아지면 되돌릴 수 없기에, 부모님들의 걱정을 더 크게 합니다. 우리 아이의 시력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을 유심히 살펴보아야 할까요?
굴절이상 증상
근시, 원시, 난시는 대표적인 굴절이상 증상입니다. 아이가 멀리 있는 것을 찡그리며 보거나, 사물이 두 개로 보인다고 호소할 때 이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근시의 경우, 아이가 TV나 책을 가까이 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발견했다면 적절한 안경을 써서 교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시의 징후
아이가 물체를 볼 때 눈이 모이거나, 밖으로 나가 있는 등 정상적인 시선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사시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생후 6개월이 지나도록 눈 맞춤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사물을 따라보지 못하는 경우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약시
갓난아이가 한쪽 눈을 가리면 짜증을 내는 반면, 다른 쪽 눈을 가려도 별 반응이 없을 때 약시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약시는 시력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나중에는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선천성 안구진탕
사물을 주시하려 할 때 눈이 파르르 떨리는 증상이 있다면, 선천성 안구진탕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경학적인 이상이 있는지 확인 후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아이들의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시력 검진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모님의 세심한 관찰을 통해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이 밝고 건강한 미래를 가질 수 있도록, 눈 건강에도 각별히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나 아이들은 본인의 시력이 나쁘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나중에 시간이 지나서 시력이 나쁘다는 것을 알게 되면, 시력을 교정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나이가 어릴 때에도 정기적인 안과 검진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마무리
요즘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면서 자녀들의 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눈 건강은 자칫 소홀히 하기 쉬운데, 이는 아이들의 학습 성취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더욱이 아이가 안보이는 것을 더 잘 보려고 눈을 찌푸리는 버릇이 들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자세도 틀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아이를 키우다 보니, 아이의 시력 문제가 단순히 잘 보이고 안 보이는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느낍니다.
소중한 우리아이, 그만큼 부모님들의 더 많은 관심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눈 부상, 상황별 응급처치 방법 4가지
눈은 정말 중요하면서도 다치기 쉬운 신체기관입니다. 눈에 모래나 먼지만 들어가도 몹시 불편하고 아픕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최대한 눈(안구)이 다치지 않고 회복하는 것입
hbox.tistory.com
어린이를 위한 치아건강 체크 리스트
치아의 건강은 나이를 불문하고 건강에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건강한 치아가 건강한 식생활을 불러오고, 건강한 식생활이 우리의 건강을 책임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어린이의 치아건강은 평
hbox.tistory.com
어린이 두뇌 발달- 음악이 두뇌 발달에 효과적인 이유
일상에서 음악을 많이 들으시죠? 인류는 고대시대부터 음악을 즐겨왔으며, 오늘날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음악을 즐기고 있습니다. 그리고 음악은 우리의 삶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음악은 우리
hbox.tistory.com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장애? 한국인이 겪고있는 정신건강 문제 (0) | 2024.05.17 |
---|---|
반신욕 효과? 반신욕 주의점과 건강한 반신욕 방법 (0) | 2024.05.17 |
족저근막염? 걸을 때 느껴지는 발바닥 통증 (2) | 2024.05.16 |
구강건조증? 원인, 해결방법 (0) | 2024.05.15 |
식중독? 다양한 식중독 종류, 예방법 (0) | 2024.05.15 |
댓글